수현이의 나들이

전라북도 내소사

수현e 2017. 5. 29. 02:37

전북 부안 능가산 내소사

변산반도를 지나 내소사를 안 들를수 없지요


얼마나 좋은지 뿌리가 나무를 감싸 안고있습니다


날자가 잘못 적혔습니다 5월 28일 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이다.

633년 백제의 승려 혜구두타가 창건하여 처음에는 소래사라고 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대소래사와 소소래사가 있었는데, 지금 남아 있는 내소사는 소소래사이다.

1633년 청민이 대웅전을 지었는데, 그 건축양식이 매우 정교하고 환상적이어서 가히 조선 중기 사찰건축의 대표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후 1865년 관해가 중수하고 만허가 보수한 뒤, 1983년 혜산이 중창하여 현재의 가람을 이루었다.

이 밖에도 고려동종 영산회괘불탱3층석탑설선당과 요사 등 여러 문화재가 있으며,

정문에는 실상사지에서 이건한 연래루가 있다.

내소사의 유래에 관하여, 일설에는 중국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와서 세웠기 때문에 내소라 하였다고도 하나 이는 와전된 것이며,

원래는 소래사였음이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고,

최자의 《보한집》에도 고려 인종 때 정지상이 지은 〈제변산소래사〉라는 시가 기록되어 있다.

또 이규보의 《남행일기》에도 소래사라 하였는데, 이것이 언제 내소사로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부속암자로는 청련암 지장암이 있다.

1986년에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반경 500m 일원이 문화재보호구역(전북기념물 78)으로 지정되었다.

일주문부터 천왕문에 걸쳐 약 600m에 이르는 전나무 숲길이 유명하다.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관음봉 아래 있는데,

관음봉을 일명 능가산이라고도 하는 까닭에 보통 능가산 내소사로 부르기도 한다. 지식백과